당장 가해자로부터 피해 임시로 지낼 공간이 필요할 수도 있고(성폭력피해자 보호시설,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 이주여성 성폭력 쉼터, 학대피해아동쉼터, 검찰청 범죄피해자 보호시설) 자립을 위해 일정 기간 거주할 주택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성폭력 피해자 주거지원)
최근에는 디지털성폭력 피해로 인해 삭제지원 등이 시급한 경우도 많고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전문적인 법률 상담과 도움이 필요한 경우도 많습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 한국성폭력위기센터, 대한변협법률구조재단,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지역사회 내 사회복지시설이나 범죄 피해로 인한 긴급생계비 등 경제적 지원을 연계해드리기도 합니다.
필요한 경우, 통합적 지원을 위해 지역사회 협력회의를 개최하거나 참석하기도 합니다.
해바라기센터는 지역사회 내 피해자 주거지에서 근거리에 있는 여러 기관과 제도를 연계해 드리고 있습니다.